달팽이관: 그것이 무엇입니까, 부품, 기능 및 관련 병리학
청력은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생리학적 과정을 포괄하는 용어입니다. 이 감각을 기반으로 인간에게 환경을 듣고 관계를 맺을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합니다. 필수적인.
매우 일반적인 용어로, 청각 과정은 다음과 같은 경우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외이도를 통해 고막으로 전달되는 음파는 일련의 소리를 생성합니다. 진동. 이들은 이소골 사슬에 도달하여 타원형 창을 통해 내이로 전달합니다.
이 시점에서 작동합니다. 포유류 청각 시스템의 필수 부분인 달팽이관 또는 달팽이. 오늘 우리는 달팽이관이 무엇인지, 그 부분, 수행하는 기능 및 실패할 때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알려 주기 때문에 청각 해부학의 세계에 빠져보세요.
- 관련 기사: "귀의 10가지 부분과 소리를 받아들이는 과정"
달팽이관은 무엇입니까?
달팽이관은 내이, 보다 구체적으로 측두골에 위치한 나선형으로 감긴 관 모양의 구조. 일반적으로 이 구조는 성인 개인의 길이가 약 34밀리미터이며 그 내부에 코르티 기관이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코르티 기관은 청력 과정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일렬로 배열된 감각 세포(약 16,000개), 특히 "세포" 섬모”. 이들은 외이에 의해 수신된 음파를 청각 신경에 도달하고 거기에서 뇌로 전달하는 전기 충격으로 변환할 때 "해석"을 담당하는 마지막 사람들입니다.
달팽이관의 일부
아직 해부학적 분야에서 잘라야 할 직물이 많기 때문에 대뇌 수준에서 소리의 통합과 관련된 복잡한 과정을 설명할 때가 아닙니다. 첫 번째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습니다. 달팽이관은 세 가지 필수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우리는 그들 각각을 설명합니다:
- Columella: 달팽이관 신경을 수용하는 중심 원뿔.
- 망상판: 기둥을 둘러싸고 있습니다.
- 나선형 시트: 망상 시트의 내벽이 놓이는 부분.
구조적 단면에서 관찰된 조직에 대한 설명을 넘어 더 많은 정보를 통해 다음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달팽이관을 구성하는 세 개의 세로 방. 다음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고막 경사로.
- 전정 경사로.
- 평균 램프.
고실계와 전정계는 외림프(혈청과 같은 액체)를 포함하고 있으며 끝부분에 위치한 헬리코트렘(helicotreme)이라고 하는 작은 도관을 통해 서로 통신합니다. 와우각. 이것은 두 구조 사이의 소통과 외림프액을 허용합니다. 그 부분에서 중간 경사로 또는 와우관은 전정 경사로와 고실 경사로 사이에 위치하며 내림프를 포함합니다. 이 구조는 용어 측면에서 상당히 복잡한 해부학적 구조를 나타내므로 다음으로 제한합니다. 그것이 삼각형이고 마지막으로 scala tympani와 scala media 사이에 이미 명명된 Corti 기관이 있다는 것입니다.
이 대기업 외에도 우리는 이 세 개의 방(고막계, 전정계 및 중간계)도 강조해야 합니다. Reissner 막과 기저막의 두 가지 유형의 막으로 구분됩니다..
Reissner의 막은 협측 경사로와 내측 경사로를 분리하며 그 기능은 내림프가 남아 있어야 하는 와우관의 내림프를 보존하는 것입니다. 반면 기저막은 중간 경사로와 고실 경사로를 분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렇더라도 그 기능은 코르티 기관이 그 위에 있기 때문에 설명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이 매우 특별한 멤브레인에 대해 조금 더 집중해 보겠습니다.
청각에서 기저막의 역할
우선 강조할 필요가 있다. 특정 소리에 대한 기저막의 반응은 기계적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기저부에서 정점까지 점진적으로 변합니다.
타원형 창과 고막에 가장 가까운 끝에서 이 막은 더 단단하고 두껍고 좁은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고음의 경우 공진 주파수가 높습니다. 반면에 말단부에서는 기저막이 더 넓고 부드럽고 유연하여 저주파에서 더 나은 응답을 제공합니다. 흥미로운 사실로서 우리는 이 구조가 근위부에서 말단부로 갈수록 강성이 10,000배 감소한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 특별한 멤브레인의 각 지점에는 튜닝이 있습니다., 그리고 특정 주파수에서 가장 큰 변위가 발생하는 곳을 "특성 주파수"라고 합니다. 즉, 기저막에서 사용 가능한 공진 주파수의 범위는 20Hz-20,000Hz 사이인 인간의 청력을 결정합니다.
코르티의 기관
기저막은 주파수를 분석하지만 이 정보를 해독하여 뇌로 보내는 코르티 기관. 어떻게 작동하는지 이해하기 위해 처음부터 시작합시다.
우리는 다시 내이의 기저부에 있습니다. 진동이 이소골을 통해 전달될 때 중이와 난원창 사이에는 전정과 전정 사이의 압력차가 있습니다. 고막 결과적으로 중앙 램프에 존재하는 내림프가 이동하여 기저막을 따라 전파되는 진행파를 생성합니다.
기저막의 변위는 유모 세포(Corti의 기관을 구성하는 세포임을 기억하십시오)가 그에 따라 움직이게 합니다. 그리고 그 덕분에 움직임의 방향에 따라 흥분되거나 억제된다. 지각된 소리에 따라 가장 큰 진폭으로 진동하는 기저막의 영역에 따라 코르티 기관을 구성하는 유모 세포의 다른 부분이 활성화됩니다.
마지막으로, 유모 세포는 신경 신호로 번역되는 특정 화학 성분을 생성합니다. 이것은 먼저 청각 신경으로 보내진 다음 청각 신경(뇌신경이라고도 함)으로 보내질 것입니다. Ⅷ). 물론 우리는 매우 복잡한 이해의 여정에 직면해 있지만 다음 개념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소리의 유형에 따라 한 지점 또는 다른 지점이 있고 여기된 세포는 이 신호를 번역하여 일련의 과정을 통해 뇌에 도달합니다. 신경.
- 관심이 있을 수 있습니다. "코르티 기관: 내이의 이 부분의 특징"
달팽이관이 실패하면 어떻게 됩니까?
특히 모발 세포는 재생되지 않는다즉, 개인이 부상을 입었을 때 회복할 수 없을 정도로 청력을 잃습니다. 인간은 감각을 잃을 때까지 감각을 당연하게 여기므로 조직이 세계 보건 기구(WHO)는 청력 손실이 수준에서 수반하는 것을 약간 맥락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일반:
- 전 세계적으로 4억 6천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청각 장애를 가지고 있습니다.
- 2050년까지 이 값은 9억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즉, 10명 중 1명이 청각 장애가 있을 것입니다.
- 전 세계 11억 명의 젊은이들이 레크리에이션 환경에서 과도한 소음에 노출되어 청력 손실 위험이 있습니다.
난청(난청)을 촉진하는 주요 요인은 시끄러운 소리에 만성적으로 노출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경우 이미 설명한 유모세포나 이를 공급하는 신경이 어느 시점에서 손상되어 환자가 소리가 왜곡된 것을 듣거나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주파수를 해석하는 것이 더 쉽습니다. 다른
마지막으로, 연령 관련 청력 상실(노안)은 불행히도 완전히 정상이라는 사실에 주목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 과정 75세 이상 노인의 거의 80%에서 관찰됩니다., 그리고 내이 또는 청각 신경 자체에 위치한 구조의 악화에 의해 생성됩니다.
요약
우리가 이 라인에서 보았듯이 달팽이관은 우리가 상상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비밀을 가지고 있습니다. 복잡한 형태에서 기저막과 코르티 기관에 이르기까지 한 가지 개념은 분명합니다. 청각은 진정한 공학 작업입니다. 이 모든 정보로 인해 다음에 헤드폰 볼륨을 최대로 높일 때 두 번 생각하게 될 것입니다. 그렇죠?
참고 문헌:
- 달팽이관은 무엇입니까? Audifon, 청각 센터. 11월 12일 수령 https://audifon.es/que-es/c/coclea-o-caracol/
- 청력과 달팽이관, Medlineplus.gov. 11월 12일 수령 https://medlineplus.gov/spanish/ency/anatomyvideos/000063.htm
- Cochlea, 일반성: 청각의 세계로의 여행 cochlea.eu. 11월 12일 수령 http://www.cochlea.eu/es/coclea
- 달팽이관, vestib.org. 11월 12일 수령 https://www.vestib.org/es/coclea.html
- 난청, 세계보건기구(WHO). 11월 12일 수령 https://www.who.int/es/news-room/fact-sheets/detail/deafness-and-hearing-loss
- Soto, E., Vega, R., Chávez, H., & Ortega, A. (2003). 청력의 생리학: 달팽이관. 푸에블라 자치 대학. 에서 복구: http://www. 생리학. 부압. mx / 온라인 / DrSotoE / COCLEA, 202003.
- Terreros, G., Wipe, B., León, A. 및 Délano, P. 시간. (2013). 청각 피질에서 달팽이관까지: 청각 원심성 시스템의 진행. 이비인후과 및 두경부 외과 저널, 73(2), 174-188.